쉘 메타캐릭터
Tilde(~) : 홈디렉토리 의미
cd ~ / cd : 홈디렉토리로 이동, 이 때 ~ 생략가능
cd ~oracle / cd ~사용자계정 : 특정사용자의 홈디렉토리 이동
*(아스테리크) : 모든 것
? : 한 글자
*는 글자 수의 제한 없음, ? 1개면 하나에 한 글자만 가능
[] : 대괄호 사이의 모든 글자. 범위지정
rm –f [abc].sh : 파일명이 a.sh 혹은 b.sh 혹은 c.sh의 파일을 지워라
rm –f [ab][0-5].txt : 파일명이 1번째 글자는 a 혹은 b, 두번째 글자는 0-5사이에 있는 txt파일을 지워라
대괄호 안에 [abc] 나 [bca] 나 같음, 즉 순서는 상관없음
[root@server117 test]# ls -al
total 12
drwxr-xr-x 2 root root 4096 Aug 19 20:55 .
drwxr-x--- 16 root root 4096 Aug 19 20:31 ..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abcd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abs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ag.sh <-삭제됨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a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b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c.sh
[root@server117 test]# rm -f [ab][a-h].sh 두 글자
[root@server117 test]# ls -al
total 12
drwxr-xr-x 2 root root 4096 Aug 19 20:57 .
drwxr-x--- 16 root root 4096 Aug 19 20:31 ..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abcd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abs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a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b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c.sh
Escape Character 탈출문자
*의 의미 : 모든 것
\*의 의미 : 단순히 문자로의 *
[root@server117 test]# touch a.sh b.sh \*.sh
[root@server117 test]# ls -l
total 0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abcd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abs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1:12 a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1:12 b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c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1:12 *.sh
[root@server117 test]# rm -f \*.sh
[root@server117 test]# ls -l
total 0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abcd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abs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1:12 a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1:12 b.sh
-rw-r--r-- 1 root root 0 Aug 19 20:55 c.sh
쉘 메타캐릭터를 문자로 인식하고 싶으면
꼭! 반드시 !! \을 메타캐릭터 앞에 붙여줘야 함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ns/ftp 구축시 참고 (0) | 2014.08.24 |
---|---|
리눅스 dns서버 bind 사용 구축하기 (0) | 2014.08.23 |
8-20일배운것 (0) | 2014.08.20 |
리눅스 설치 (0) | 2014.08.20 |
디스크 관리 명령어 (0) | 2014.08.19 |